1. 개요 및 정책시점 :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제시한 청년 전용 적금상품으로 청년이 납부한 돈과 정부의 지원금을 합쳐서 매월 최대 70만 원
(최대 월 40만 원 정부지원 )씩 연리 3.5%로 저축해 10년 후 1억 원을 다 갈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1억 만들기 통장’이며, 수입이 낮을수록, 청년의 납입액이 많을수록 정부 지원금액이 늘어나도록 설계된 정책금융상품이다.
2. 가입대상 및 요건 :
1) 가입 기간: 2023년 6월 15일 ~ 2024년 12월 31일
2) 가입 신청, 계좌 개설 기간은 매월마다 상이
3) 가입 대상: 만 19세 ~ 만 34세 청년 개인소득요건, 가구소득요건을 모두 충족한 자
가입일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 아닌 자
* 가입 대상은 만 19세부터 만 34세 청년 중, 개인소득 요건과 가구소득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자이다.
다만, 소득이 없거나 국세청에서 소득금액 증명이 불가능한 경우 가입할 수 없다. 또한 내국인뿐만
아니라 외국인도 가입 가능하다.
개 인 소 득 요 건 | |||
총급여 | 종합소득 | 정부기여금 | 비과세 |
6,000만원 이하 | 4,800만원 이하 | O | O |
7,500만원 이하 | 6,300만원 이하 | X | O |
* 가구소득 요건은 본인을 포함한 가구원[5] 소득의 합이 기준 중위소득[6]의 180% 이하여야 한다.
가구원 수 | 1인가구 | 2인가구 | 3인가구 | 4인가구 | 5인가구 | 6인가구 |
2024년 중위소득 180% | 4,011,201 | 6,628,696 | 8,486,383 | 10,313,843 | 12,052,323 | 13,713,064 |
2024.05.17 - [무직자정부지원대출직업훈련대부신용평가고용되지않은사람취업준비고용노동부] - 무직자 정부지원 대출받는방법
3. 기여금 지급구조 :
기본적으로는 월 70만 원 이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가능한 만기 5년 적금상품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납입이 의무는 아니다. 여기서 개인소득 수준과 납입한 금액에 따라 정부기여금이 매칭 지원되며 이자소득에 비과세 혜택이 제공된다.
개인소득 | 월 기여금 지급한도 | 기여금 매칭비율 | 월 기여금 한도 | |
총급여 기준 | 종합소득 기준 | |||
2,400만원 이하 | 1,600만원 이하 | 40만원 | 6.0% | 2.4만원 |
3,600만원 이하 | 2,600만원 이하 | 50만원 | 4.6% | 2.3만원 |
4,800만원 이하 | 3,600만원 이하 | 60만원 | 3.7% | 2.2만원 |
6,000만원 이하 | 4,800만원 이하 | 70만원 | 3.0% | 2.1만원 |
7,500만원 이하 | 6,300만원 이하 | - |
4. 효과 :
정부기여금은 소득에 따라 70만 원을 전부 납부하지 않아도 최대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소득기준에 따라 최대 효과를
보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총급여기준 | 월납부액 | 총납입액 | 총정부기여금 | 납입금액이자 | 기여금이자 | 총수령액 | 햬택금액 | 일반적금비교 |
2,400만원이하 | 40만원 | 2,400만원 | 144만원 | 366만원 | 15만원 | 2,925만원 | 525만원 | 10.19% |
3,600만원이하 | 50만원 | 3,000만원 | 138만원 | 419만원 | 15만원 | 3,572만원 | 572만원 | 8.87% |
4,800만원이하 | 60만원 | 3,600만원 | 132만원 | 503만원 | 14만원 | 4,249만원 | 649만원 | 8.39% |
5. 청년희망적금과의 연계 활용 :
* 청년희망적금으로 모은 목돈을 청년도약계좌로 옮기면, 이 돈을 다른 데 활용하면서 청년도약계좌에 신규 가입하는 것도 다 유리합니다. 예을 들자면 ) 청년도약계좌 월 70만 원을 5년(60개월) 납입한다고 했을 때, 청년희망적금 만기 한 사람이
만기금액 1260만 원을 청년도약계좌에 일시 납입, 나머지 42개월만 70만 원씩 납부하면 됩니다..
70만원씩 60개월 납부하는 청년보다 18개월 치를 선 납입한 셈이니 그만큼 약 53만 원 정도 이자가 더 붙습니다. 이자
694만 원에 정부기여금(약 160만 원)을 더하면 5년 뒤에 원금 외에 856만 원을 얻습니다.
신규 가입자는 이자 641만 원에 정부기여금 160만 원을 받아 수익 801만 원을 얻을 수 있고요. 55만 원가량 차이가 납니다. 여기서 이자는 세전 기준입니다.
6. 적금 담보대출 가산금리 :
청년도약계좌 적금을 담보로 대출을 신청 시, 가산되는 금리입니다. 갑자기 목돈이 필요할 때 청년도약계좌를 해지 안 하고
대출해주는 구제책이다. 사실 기존 청년희망적금 이용자들이 적금을 두 개를 유지하기 어려울 경우를
대비해 만들어 놓은 장치... 였으나 도약계좌는 희망적금과 중복가입이 불가능합니다. 낮을수록 담보대출 시에 이자가
적어지므로, 낮을 수록 좋다. 최저 금리는 기업은행의 0.6%이고, 최고 금리는 전북은행의 1.3%입니다.
2024.04.17 - [연체자대출받는방법정부지원서민대출햇살론정부지원서민대출햇살론15] - 소액생계비대출 연체자대출받는방법